잡학다식 정보공유
나만의 졸음운전 방지, 극복방법! 본문
졸음운전을 방지하는 방법
저는 차를 타고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해서 장거리운전을 많이 하는 편인데요,
경우에 따라서는 업무때문에 장거리 운전을 하는 경우도 많구요.
그러다보니 아직 도착까지 2-3시간은 남았는데 잠이 미친듯이 쏟아질 때가 많죠.
그럴 때 저만의 졸음깨는 방법 몇 가지가 있는데, 노하우를 한번 공유해 봅니다^^.
1. 새끼손가락 깨물기(?)
이게 무슨 말인가 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긴 한데요,
새끼손가락 손톱 중앙을 좀 아프다 싶을 정도로 깨물고 난 뒤,
핸들을 바꿔잡고 다른 손의 새끼손가락도 똑같이 깨물구요,
두 새끼손가락을 약속~ 하듯이 걸고 한번 힘줘서 잡아당겨보세요.
그럼 정말 악!!! 소리가 날 정도로 아파요,,ㅋㅋ
그냥 깨물때에는 분명 그정도는 아니고 그냥 아프다 싶을 정도만 깨물었는데도
손가락을 걸어 당기면 두 손가락이 정말,,, 어마어마한 고통이,,,.
허벅지도 꼬집고 별 일을 다 해봤는데도 안된다싶으면 새끼손가락이 갑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허벅지나 뭐 그런 데 꼬집고 하면 나중에 빨갛게 티나잖아요,, 새끼손가락은 티도 안나요 ㅎㅎ)
2. 지인에게 전화하기
새끼손가락에 고통을 주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졸릴 경우엔 어쩔 수 없이 지인찬스 써야죠.
제일 좋은 것은 옆이나 뒤에 탄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인데요,
단순히 끝말잇기 뭐 이런거 하면 또 나도모르게 졸릴 수 있으니 그런거 말고
다음 여행가고 싶은 곳, 사고 싶은것, 뭐 그런걸 (상대방이 얘기하는 걸 들으면 안되고) 계속 이야기해야 합니다.
전화를 한 지인이나 옆에 탄 사람과 대화하면서 계속 말하다보면
어느 순간 신나서 말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죠 ㅎㅎㅎㅎ
이렇게 한번 졸음에서 깨면 도착할 때까지 무사하게 갈 수 있어요^^
3. 졸음쉼터나 휴게소 이용
만약 반드시 바로 가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눠도 졸릴 정도의 심한 피로도라면 잠깐 눈을 붙이고 가는걸 추천드립니다.
잠깐 들러서 먼저 눈을 붙이고 30분~1시정도 눈을 붙이시고,
깨어나면 밖으로 나가서 찬바람과 함께 스트레칭 한번 하고 출발하면
안전하게 운전하실 수 있어요~^^
4. 만약 졸음쉼터나 휴게소를 이용할 수 없이 바로 가야한다면?
이것도 저만의 방법인데요,
몇 년 전에 라디오를 듣다가 화물운송하시는 분들이 말씀해주신 방법인데,
그 분들은 워낙 하루종일 운전하시고 잘 못쉬시고 하시니까
온갖 방법을 동원하신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졸릴 경우 어떻게 하냐고 물어보니
차에 "청양고추"를 두고 다닌다고 하네요.
저도 해보니,,, 이거 진짜 장난아니게 효과 좋습니다,,!!
피곤한 운전이 될 것 같으면 미리 청양고추를 좀 준비해서 가시면 됩니다,,ㅎㅎ
졸릴 때 하나 베어 물면 속은 매워서 뒤집어지지만 잠은,, 뭐 이야기할 필요도 없죠.
(물론,, 나중에 화장실이 좀,,, 무섭긴 합니다,,,ㅋㅋ)
이렇게 네 가지는 저만의 노하우입니다.
물론, 졸린 이유중 가장 큰 (객관적인) 이유는 차량 내 실내공기에 산소가 부족한 이유가 큰데요,
차량 설정 중에 외부공기 유입 차단이나 이런 걸 켜놓으면 특히 빨리 졸리구요,
그 외에도 환기를 잘 안하면 많이 졸리니까 졸리기 전에 미리미리 환기하는 센스^^!
그 외에도 단순히 졸릴 것 같은 경우에는 견과류나 오징어도 좋아요.
생각보다 껌이나 사탕은 효과가 별로 없었구요(개인적으로) 오래 씹되 어쨌든 먹어 없어지고
계속 손을 움직여서 또 먹어야 하는 오징어가 제일 효과가 좋아요.
근데 또 단순히 과자나 비스킷 같은걸 먹으면,, 배가 불러서 더 졸릴 수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혼자만 타고 있다면 좋아하는 노래를 틀어놓고 신나게 따라부르는 것도 좋아요.
소리소리 지르면서 노래도 따라부르고 하면 좀 낫더라구요. (근데 저는 그래도 따라부르는게 끝나면
1-2분 안에 다시 졸리긴 했음,,,,ㅡ.ㅡ)
공유해드린 노하우 잘 보시고 안전운전 하시기 바랄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과 실수령액(월급) 차이 (0) | 2019.02.07 |
---|---|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예상 수령액 확인하세요 (0) | 2019.02.04 |
운전면허증 없이 운전을 해도 된다? 안된다? (3) | 2019.02.02 |
겨울철 옷, 머리카락 등 정전기 없애는법 (0) | 2019.01.20 |
지역별 순대 양념장. 어떤 양념장에 찍어먹을 것인가 (0) | 201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