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잡학다식 정보공유

주로 쓰는 눈(주시안) 쉽고 간단하게 찾는 방법 본문

생활정보

주로 쓰는 눈(주시안) 쉽고 간단하게 찾는 방법

영어공부마스터 2019. 2. 18. 23:47

내가 주로 쓰는 눈이 어느쪽인지 쉽게 찾는 방법

사람은 눈이 두 개인데 보이는 것은 하나로 합쳐서 보이는 것이 참 신기하죠?

눈이 두 개라서 이 두 개가 가지는 차이로 원근감도 만들어주고 균형도 맞춰 주게 되죠.

하지만 두 개이다보니 아무래도 더 자주 쓰는 눈이 존재하기 마련인데요,

이렇게 주로 사용하는 눈을 "주시안" 이라고 부르는데요,

대뇌에서 두 눈의 정보 중에 더 선호하는 정보가 들어오는 눈이 바로 주시안 인거죠.

주시안은 보통 생후 3세 즈음 결정이 되는데요, 한 번 결정이 되면 그렇게 평생을 쓰게 됩니다.

그리고, 주시안은 보통 멀리 있는 사물을 보는 데 쓰는 반면 반대쪽 눈은 가까운 사물을 보는 데 쓰이죠.


그리고 시력 이라고 하는게 눈근육이 눈을 압축시키고 늘이고 하는 근육운동을 통해 초점을 잡는 것이다보니

주시안은 눈을 그만큼 더 많이 써서 시력이 더 빨리 떨어지게 됩니다.

(근육이 그만큼 빨리 늙게 되는거죠.)


남자들이라면 군대에 가서 처음 사격을 한다고 할 때 바로 이 주시안이 어느 것인가 많이 찾게 되죠?

가늠자 가늠쇠 조준선정렬 한다고 한쪽 눈을 감느니 마느니 하면서 말이죠.

그런데 이 주시안을 알게 되면 운동에도 도움이 된다고 해요.

국민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농구에서 프리드로우를 할 때 주시안으로 앞을 보면서 던지는 것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성공률이 높다고 하구요,

야구를 할 때에도 타석에 들어설 때 주시안이 투수쪽으로 서서 들어서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만약 그 반대로 서게 되면 주시안이 포수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날아오는 공이 순간 사라져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의 주시안은 왼쪽일지 오른쪽일지 어떻게 쉽게 알 수 있을까요?

1. 두 눈을 뜬 상태에서 두 팔을 쭉 펴서 양손으로 원을 만듭니다. (크기는 관계 없어요.)

2. 이후 멀리 있는 사물 하나를 정하고 손으로 만든 원으로 사물을 가리킵니다.

   (주시안은 멀리 있는 것을 보기 때문에 가능하면 가까운 물체 말고 먼 물체로 해야 해요.)

3. 왼쪽, 오른쪽 눈을 번갈아가며 감아봅니다.

4. 이 때 주시안으로 볼 때에는 물체가 손으로 만든 원 안에 그대로 있는데 반해 반대쪽 눈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쉽죠?


이렇게 오늘은 주시안을 찾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되셨길 바래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