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학다식 정보공유
약은 왜 쓴맛이 날까요? 본문
왜 대부분의 약은 쓸까?
약이 쓴 맛이 나는 이유.. 아무리 찾아봐도 생각보다 글이 없더라구요,,ㅋㅋ.
그래서 정말 열심히 열심히 찾아본, 그래서 정리해 본 글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래요.
1.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
참고로 논문 제목은 "The Bad Taste of Medicines: Overview of Basic Research on Bitter Taste"
대부분의 약물은 세포 내에서 생리학적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작동하게 되는데,
따라서 의약품은 그 자체가 충분한 양으로 섭취하면 독성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쓴 맛은 독성 물질의 섭취에 대한 억지력이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2. 이것보다 좀 더 자세하고 유사한 설명인데요, MIMS Today 라는 말레이시아 의학정보센터 센터지 자료입니다.
기사 제목은 "Why are medicines so bitter"
대부분의 약물은 식물에서 가져온 성분(plant-based)이기 때문에 침에 녹으면 쓴 맛이 나게 되구요,
쓴 맛의 이유는 첫번째, 식물의 특정 부분이 원래부터 쓴 맛이 난다는 것과 (specific part of the plant used is sour in nature)
두번째 이유는 우리가 이 맛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쓴 맛을 느끼게 된다는 것입니다.
맛은 친숙함과 적응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렇다는 이야기입니다. (커피도 처음엔 쓴데 나중에 맛있잖아요 ㅋㅋ)
쓴 약 역시 먹으면 먹을수록 맛이 좋아질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게 심리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실제 적응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간의 혀에는 쓴 맛에 대한 수용체가 단 맛보다 훨씬 많은데요, 단맛에 대한 수용체는 3개인데 반해
쓴 맛에 대한 수용체는 43개라서 쓴 맛이 더 훨씬 오래 남아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1번과 같은 의견도 소개되어 있는데요, "필라델피아에 있는 모넬 화학 감각 센터의 연구원 메넬라에 따르면,
쓴 맛은 여러분이 무언가를 섭취하고 싶지 않게 진화화된 감각"이라고 설명해주고 있네요.
그래서 아이들이 더 쓴 맛에 민감하고, 중독되지 않도록 도와주는것이죠.
3. 마지막은 네이버 지식인의 고수님 답변입니다.
질문은 "약은 왜 쓴가요?" 였구요, 답변을 정리해보면,
소금, 식초 이런 맛을 느끼게 해주는 물질도 다 화학물질이고,
약 역시 화학물질이라서 고유의 맛이 있게 되는데 대부분 쓴 맛이 나는 이유는
약물을 구성하는 질소(Nitrogen) 라는 원소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물이 효과적으로 체내에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친화적인 구조를 가져야 하는데,
이 단백질이 C, H, O, N으로 이루어져 있고, N이 핵심원소라서 약물이 이 원소를 가지고 있다고..
(정리하면서 첨언: 체내에서 작용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에 친화적인 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부동의. 게다가 감기약 성분의 대명사인 이부프로펜도 C13H18O2 인데,, 질소 없는데.. 타이레놀의 순 성분인 해열진통약물인
아세트아미노펜은 C8H9NO2라 질소가 있긴 하지만 달랑 한개고...)
질소를 가지고 있으면 염기성을 띄고, 염기성 물질은 떫은 맛이 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참고로 질소를 가진 식물의 쓴맛 성분을 알칼로이드성분이라고 부르는데요, 어떻게보면 2번 설명과 유사한 부분이..
나름 설명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아스피린은 산성이라 신맛이 난다고 설명해 놓긴 했는데요,
아스피린 자체가 아세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으로 산성이니까 맞는 말 같아 보이지만
제가 먹어본 아스피린은... 신맛을 느껴보지 못하고 그냥 삼키기만 했던 기억이...
참고로 아스피린은 C9H8O4 입니다.
정리해보자면, 원체 국내 기사나 기고문은 찾을 수 없어서 찾은 1, 2번 외국자료가 좀 더 신뢰가 가구요,
지식인에서 말하고 있는 대부분의 답변인 "알칼리성이라서.."라는 답변은.. 2번 답변에 대한 부가설명이 될 수도 있어 보이네요.
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의 필수영양제 엽산은 정확히 무엇일까요? (0) | 2019.03.24 |
---|---|
발효유, 농후발효유, 유산균음료 차이 알고 드세요! (1) | 2019.03.13 |
주로 쓰는 눈(주시안) 쉽고 간단하게 찾는 방법 (0) | 2019.02.18 |
우리나라 팔도의 의미와 시작 (0) | 2019.02.17 |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등 매월 14일 기념일 의미, 유래 정리 (0) | 201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