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학다식 정보공유
A 형간염 증상, 전염경로,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본문
A 형간염 증상, 전염경로, 예방법
봄철만 되면 A형간염이 확산되고 있다는 기사를 보게 되는데요,
올해 봄도 여지없이 A형간염이 확산되고 있으니 매우 조심해야 한다는 기사가 많이 보이고 있네요.
봄철에는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하면서 알러지성 비염과 알러지성 결막염, 미세먼지나 황사 등에 의한 폐질환이 유행하는데
이것 못지않게 A형간염도 봄철 유행질환 중 하나입니다. 대한민국 법정감염병 분류기준인 제1군 감염병에 해당되구요.
나는 인싸니까 유행하는거 다 해봐야된다고 생각하는 분은 없으시죠?
A형간염의 전염경로와 예방법, 그리고 증상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드릴테니 올봄 이건 피해가세요^^!
1. A형간염의 감염경로
A형간염은 위에서 쓴 것처럼 제1군 감염병에 해당됩니다.
1군은 마시는 물 또는 식품을 매개로 발생하고, 집단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감염병이에요.
(분류기준은 1, 2, 3, 4, 5군 감염병과 지정감염병이 있구요.)
A형감염은 HAV라고 불리는 hepatitis A virus에 의한 바이러스감염질환이구요, 분류기준대로 오염된 물 또는 음식물에 의해 전파됩니다.
특히 환자의 대변을 통한 경구감염,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중독자),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으로 전파도 잘 일어나서
환자의 가족 또는 친척에게 전파되거나 인구밀도가 높은 군인, 고아원, 탁아소 등에서 집단발생 가능성이 크죠.
대변을 통한 경구감염,, 이라는 말이 좀 이상하죠? 공중화장실 등을 이용하고 손을 깨끗하게 씻지 않으면 위험하단 말입니다.
요새 서울경기 지역에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이유도 이러한 감염경로 탓이죠.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서 쉽게 집단발병이 일어납니다.
2. A형간염의 예방법
A형간염은 50대 이상은 어릴적 자연감염을 통해 이미 항체가 만들어진 경우가 많구요, 20대 이하는 예방접종 실시했죠.
따라서 20대 ~ 40대 성인들은 대부분 항체가 없고,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위험할 수 있겠죠?
특히, A형간염의 특성상 소아는 거의 증상이 없는 불현성 감염(6세 이하는 50%가 증상이 없습니다.)이기 때문에
50대 이상의 경우 소아감염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갔을 가능성이 크거든요.
다만 감염자의 연령이 높아질 수록 황달 등 바이러스 간염의 임상 증상 발현률이 높고 심해집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예방법은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겠죠?
예방접종 외에도 A형간염을 예방하기위해서는 기본적인 위생에 신경을 쓰면 되는데요,
감염경로가 물과 음식물이기 때문에 화장실을 다녀오거나 외부 출입시 30초 이상 올바른 손씻기를 해야 하구요,
음식이나 물 섭취시 끓인물을 마시거나 음식은 익혀먹고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겨 드셔야 합니다.
3. A형간염의 증상
증상 초기는 발열과 두통, 피로 등의 전신증상이 생기는데요,
감염으로부터 증상까지 이르는 시간인 잠복기가 15일~50일로 꽤 긴편인데 보통 28일정도의 잠복기를 가지구요,
따라서 특별한 일 없이 갑자기 발열과 두통이 시작되서 대개 감기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역학조사도 어렵구요.
증상이 진행되면서 구역질, 구토, 설사, 황달 등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데 8주간 지속되게 되구요,
심해질경우 급성신부전, 담낭염, 췌장염, 혈관염, 관절염 등의 합병증도 수반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일단 발병하면 원인치료는 어려워서 대증요법으로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대증요법은 그 증상에 대한 대처라고 보시면 되는데, 예를 들어 콧물이 나면 콧물안나오는 약, 열이 나면 해열제를 먹는 등
대표적으로 감기에 대한 치료가 대증요법입니다.)
따라서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입원치료도 필요하고 고단백 식이요법을 진행하거나, 간부전이 심각해지면 간이식도 필요합니다.
너무 무서운 이야기만 했는데요, 어쨌든 일반적인 경우에는 대증요법으로 치료도 가능하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몸이 알아서 싸워서 이겨줄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다만 사전에 알고 안정가료를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드립니다.
이렇게 A형감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서두에 말씀드린 것처럼 인싸라고 유행 다 따라가지 마시고 예방접종과 개인위생관리를 통해 꼭 피해가시기 바랄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스노조 파업.. 5월 15일부터 버스 총파업? (0) | 2019.05.09 |
---|---|
진드기에 물리면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를 조심하세요 (0) | 2019.05.03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자격요건, 신청방법 정리 (0) | 2019.04.25 |
카카오톡 생일표시 다른사람 알림과 내생일 공개 설정 (0) | 2019.04.22 |
불친절, 무개념 공무원민원은 소극행정신고센터를 통해서! (0) | 201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