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학다식 정보공유
STEAM PC방 프로그램 서비스가 곧 시작됩니다. 본문
STEAM은 게임 좀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서비스잖아요?
스팀은 온라인게임을 유통하는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인데요,
이렇게 말하면 거창한거고, 사실은 온라인에서 게임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인거죠.
저도 워낙 옛날부터 게임을 좋아해서 CD로 사서 했었는데 (타이틀 박스가 콘프로스트 박스만했죠 ㅎㅎㅎ)
그런 게임들을 온라인에 올려놓고 구매시 다운받아 설치하도록 하게 해주는 게 바로 스팀. 이해 되시죠?
인터넷에 떠도는 짤들은 보통 이런 게임들을 스팀에서 종종 파격적으로 할인을 하다보니 (80%, 90%)
그런 할인에 이끌려 게임을 사게 되는 그런게 짤로 많이 돌아다녔던 것 같네요.
그런데 바로 이런 스팀 서비스를 PC방에서도 적용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게임을 스팀에서 구매한 고객만 그 게임을 개인이 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서
이제는 PC방 프로그램에 가입한 피시방에서는 유저들이 게임을 구매하지 않고도 그 게임을 할 수 있게 되는거죠.
즉, 스팀PC방 프로그램은 라이선스 구매의 대상을 고객이 아니라 PC방으로 생각해서
그 사업장 내에서는 스팀 서비스와 허가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고객 입장에서는 유명하고 꼭 플레이하고 싶었던 게임들이라고 해도 사실 모든 타이틀을 다 구매하기 어려우니
하지 못하고 있던 것이 있었다면 완전 반가운 서비스인거죠.
스팀 홈페이지에서는 steam PC방 프로그램 (상용 사업장 라이선스) 라고 표현하고 있지만
일부 인터넷 기사에서는 PC cafe라고 표현하고 있기도 하고,
그냥 단순히 우리나라 모든 PC방에서 다 이 라이선스를 사용해서 스팀에 접속할 수 있게 되고 한 건 아닌거 같네요.
홈페이지에서는 사이버 카페나 PC방, 소매점, 커피숍, 학교, 도서관, 병원, 극장, 항공기, 여객선, 버스, 기차, 지하철 등
인터넷접속을 제공하는 모든 장소에 적합하다고 하였지만
우리나라야 뭐 워낙 PC방 사업이 잘 갖춰져 있는 나라이다보니 대부분 PC방이 될 것 같긴 하지만요.
이제 중요한 것은 이 서비스가 과연 얼마에 라이선스 서버 운용할 수 있게 되는지, 그리고,
스팀 계정만 있다고 거기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닌 것 같으니 어디까지 무료로 풀어줄 것인지 등이 되겠죠.
아무튼,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 입장으로서 또 다른 새로운 시도인 것 같아서 보기 좋네요^^
'정치경제사회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금지!! WTO 4년간의 싸움 정리, 현재 금지국가 등 (0) | 2019.04.27 |
---|---|
이번 속초 고성 산불, 기적을 만든 9가지 사실들 (0) | 2019.04.06 |
니코틴의 어원과 특성, 생체반감기 등등 (0) | 2019.03.01 |
텔레그램(Telegram)도 복원이 가능하다! (1) | 2019.02.06 |
딥페이크(Deepfake) 얼굴바꿔치기 (0) | 2019.02.06 |